팔란티어의 CEO 알렉스 카프 와 니콜라스 비츠카의 신작 "기술 공화국(The Technological Republic), Hard Power, Soft Belief, and the Future of the West" 이 출판되었습니다.
아직 우리나라에는 번역본이 소개되지는 않았습니다.
알렉스 카프는 책의 내용과 관련하여 CNBC 등과 인터뷰를 하기도 하였구요, 이 책의 내용을 분석하고 토론하는 다양한 팟캐스트가 유튜브에 공유되고 있습니다.

<관련 POD CAST>
위의 팟캐스트 내용을 기초로 책의 내용과 그리고 팟캐스트에서 논의되는 비판적 시각에 대해 정리하였습니다.
(1) Hard Power (강한 힘)
"Hard Power(하드 파워)"에 대한 명확한 정의는 직접적으로 언급되지 않았지만, 책에서 "Hard Power"라는 용어가 사용되는 맥락을 통해 그 의미를 추론할 수 있습니다.
- 전통적인 군사력과 경제력: 일반적으로 하드 파워는 군사력, 경제력 등과 같이 다른 국가나 행위자에게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유형의 자원을 의미합니다.
- 국가 안보와 기술: 팟캐스트에서는 하드 파워가 국가 안보와 관련된 기술이라 언급하며, 예를 들어 양자 컴퓨팅, 극초음속 미사일 등이 해당됩니다. 이러한 기술은 국가의 군사적, 경제적 경쟁력을 강화하는 데 기여합니다.
- 소프트 신념과의 대조: "소프트 신념"이 피상적이고 단기적인 목표에 집중하는 경향을 의미하는 반면, "하드 파워"는 국가의 장기적인 안보와 번영을 위한 실질적인 힘과 자원을 구축하는 것과 관련됩니다.
팟캐스트에서 "Hard Power"는 전통적인 군사력과 경제력을 포함하며, 특히 국가 안보와 관련된 핵심 기술을 개발하고 유지하는 능력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이는 "소프트 신념"과는 대조적으로, 장기적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실질적이고 강력한 힘을 의미합니다.
(2) Soft belief(미약한 신념)
Soft beleif (미약한 신념) 는 다음과 같이 정의합니다.
- 단기적이고 쉬운 보상에 집중하는 경향: 장기적인 노력과 깊이 있는 사고가 필요한 어려운 과제들을 해결하기보다는 즉각적인 만족을 주는 것에 집중하는 경향을 의미합니다.
- 피상적인 참여와 즉각적인 만족 추구: 소셜 미디어 피드를 계속 새로 고침하며 짧은 순간의 즐거움을 얻거나, 깊이 있는 학습 대신 빠르고 쉽게 소비할 수 있는 콘텐츠를 선호하는 것과 같이, 깊이 있는 사고나 노력 없이 쉽게 얻을 수 있는 것에 몰두하는 문화를 의미합니다.
- 표면적인 것, 최신 유행하는 것에 집중하는 경향: 실질적인 문제 해결보다는 겉으로 보이는 화려함이나 최신 유행하는 기술에만 집중하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예: 에너지 위기와 같은 현실적인 문제 해결보다 메타버스에 투자하는 것)
- 집중력 저하 및 피상적인 참여 문화 확산: 이러한 "soft belief"는 사회 전체에 영향을 미쳐 개인의 집중력을 떨어뜨리고, 피상적인 참여 문화를 확산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합니다.
요약하자면, "soft belief"는 깊이 있는 사고와 장기적인 노력을 기피하고, 즉각적인 만족과 피상적인 즐거움을 추구하는 현대 사회의 경향을 비판적으로 지칭하는 용어로 사용됩니다.
(3) 현재 서구 사회가 처한 위기
서구 사회가 목적과 혁신의 위기에 직면해 있으며, 실리콘 밸리가 과거의 웅대한 목표를 잃고 소비자 트렌드만 쫓고 있다고 주장합니다. 이는 "Soft Belief" 문화로 이어져 피상적인 문제에만 집중하고 있어, 이는 중국과 같은 경쟁국에 비해 기술적으로, 특히 "Hard Power" 부분에서 뒤쳐지게 만들 수 있다는 우려를 제기합니다.
2차 세계 대전 이후 실리콘 밸리는 정부와 협력하여 국가 안보와 발전에 기여했지만, 현재는 이와 같은 협력이 부족하다고 지적합니다. GPS나 인터넷과 같은 기술이 과거 정부 지원을 통해 탄생했음을 예시로 들며, 국가적 목표를 위한 기술 개발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1990년대 후반의 닷컴 버블이 단기적인 이익 추구와 "혁신 극장 (Innovation Theater)"이라는 피상적인 기술 발전에 집중하게 만들었다고 분석합니다. "혁신 극장" 은 실제로 혁신을 이루기보다는 외관상으로만 혁신적인 것처럼 보이도록 하는 행위를 의미합니다. 이는 기술 발전보다는 PR이나 마케팅에 집중하는 경향을 비판적으로 지칭합니다.
소프트 신념이 기술 분야뿐 아니라 사회 전반에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정보 소비 방식, 미래에 대한 사고방식에 영향을 미치고 집중력 저하 등을 초래하고 있다고 지적합니다.
(4) 서구사회의 미래를 위한 제안
과거 2차 세계 대전 당시 미국이 전쟁 노력을 위해 산업 생산을 늘렸던 것처럼, 중요한 기술 분야에서 정부가 적극적으로 연구 개발을 지원해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양용 기술(민간 및 군사적 응용 모두 가능한 기술) 개발을 위한 국가 벤처 캐피털 펀드를 제안하고 있습니다.
정부의 과도한 개입이 혁신을 억누르고 관료주의적 악몽을 초래할 수 있다는 비판에 대해, 서구가 핵심 기술에서 뒤처질 경우 경제적, 군사적 우위를 잃을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하며, 정부와 시장 간의 균형, 국가 안보와 개인의 자유 간의 균형에 대한 심층적인 논의를 촉구합니다.
개인의 사고방식 변화와 제도적 우선순위 변화가 모두 필요하며, 정부는 기술 개발 방향을 제시하고 개인은 기술 사용 방식에 대한 의식적인 선택을 해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실리콘 밸리가 폐쇄적이고 고립되어 더 큰 그림을 놓치고 있으며, 다양한 배경과 관점을 가진 인재를 유치하여 혁신을 촉진해야 한다고 강조합니다.
기술과 서구 사회의 관계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제시하며, 이윤 추구가 아닌 인류의 발전을 위한 혁신 정신을 되찾아야 한다고 결론짓습니다.
(5) 시사점
팟케스트에서 엘론 머스크가 이 책을 지지한 것은, 그 역시 서구 사회의 안일함에 대한 우려를 공유하고 있으며, 정부와의 협력이 가능하다는 점을 시사하는 것이라 주장합니다. 그러나, 팟캐스트는 구체적인 실행 방안 (이민 정책, 인재 유치 경쟁 등)에 대한 세부 사항은 다소 모호하다고 지적 합니다.
독자들은 책을 통해 기술 혁신이 사회와 국가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고, 개인의 선택과 행동이 이러한 변화에 기여할 수 있다는 점을 깨닫을 수 있어, 이는 개인의 삶에 대한 책임감을 높일 수 있습니다. 또한 이 책은 서구 사회의 현재 상태와 미래에 대한 비전을 제시하며, 독자들이 문화적 변화와 기술 발전의 중요성을 인식하게 합니다. 이는 독자들이 자신의 삶과 사회에 대한 더 넓은 시각을 가질 수 있도록 도울 수 있습니다.
전반적으로, "기술 공화국"은 독자들이 기술, 사회, 국가 간의 관계를 다시 생각하게 하고, 개인의 삶과 기술 발전의 중요성을 이해하게 만듭니다. 이는 독자들이 자신의 삶에 대한 새로운 관점과 책임감을 가질 수 있도록 돕습니다.
(6) 나는? 우리나라에서는?
요즘 SNS에서 단기적이고 쉬운 보상이 따르는 것들이 유행하다 보니, 나 역시 짧은 영상인 소위 쇼츠 등에 많이 노출되어 낭비하는 시간이 많아 지고 있어 다시금 반성해 봅니다. SNS에 만연한 Soft Belief에 지배되고 있는 지금의 나를 반성하고, 나의 Hard Power 를 키울 수 있는 장기적인 계획, 그리고 이에 따른 실천이 필요함을 다시 한번 느낍니다.
Hard Power를 키우는 방법은 최고의 방법이 독서라고 생각하며, 독서로 부터 생각의 깊이를 더욱 크게 만들어 나가는 것이 가장 타당한 방법이 아닐까 합니다. 알렉스 카프가 기술 공화국에서 주장하는 서구 사회가 나아가야 하는 방향으로 제시하는 것들이 마치 저에게 보내주는 따끔한 충고로 느껴집니다.
21세기 초 정부 주도하에서 인터넷 인프라에 어마어마하게 투자하여 우리나라는 세계 최고의 인터넷 강국으로 태어났습니다. 정부가 강력하게 추진하는 기술정책은 우리 나라의 기술발전에 엄청난 공헌을 할 수 있습니다.
요즘 우리 나라는 미래를 내다보며 기술 발전을 위하여, 특히 AI 분야 개발을 위하여 이렇다할 정책이 아직 눈에 띄지 않습니다. AI 혁명으로 미래의 세상은 어떻게 달라지게 되는지 그 누구도 명확히 예측하기 어렵습니다. 그러나 확실한 것은 AI에 미래 사회를 지배하게 될 것입니다. 우리나라의 혼란한 정치 상황이 빠른 시일내에 치유되고 우리나라에서도 정부가 주도하는 기술 분야 투자 및 장기 계획이 추진되기를 희망해 봅니다.
'나의 비전을 찾아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3천년의 지혜가 모인 '주역'에서 배우는 조정, 하락 시 주식 투자 마인드셋 (16) | 2025.03.01 |
---|---|
AI 시대를 준비하자 - AI 시대에서 요구하는 능력, AI가 대체할 수 없는 직업 (23) | 2025.02.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