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재무부는 25년 1분기 국채발행 추정치 와 국채발행규모 (QRA) 를 공시 하였습니다. 이를 통해 시장의 유동성 및 주식 시장에 영향을 분석해 볼까요?
차입 추정치
2월 3일 재무부는 25년 1분기 및 2분기 차입 추정치를 발표하였습니다.
- 2024년 10월 - 12월 분기: 6,200억 달러의 민간 보유 순 시장성 부채를 차입했으며, 분기 말 현금 잔고(TGA 계좌)는 7,220억 달러였습니다.
- 2025년 1월 - 3월 분기: 8,150억 달러의 민간 보유 순 시장성 부채를 차입할 것으로 예상하며 (기존 24년 10월 발표에 비해 90억 달러 감소, 아래 표 forecast revision 참조), 3월 말 현금 잔고(TGA 계좌)는 8,500억 달러로 예상됩니다.
- 2025년 4월 - 6월 분기: 1,230억 달러의 민간 보유 순 시장성 부채를 차입할 것으로 예상하며, 6월 말 현금 잔고(TGA 계좌)는 8,500억 달러로 예상됩니다.
"민간 보유 순 시장성 부채를 차입한다"는 것은 미국 정부가 민간 투자자에게 채권을 발행하여 자금을 조달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여기서 "시장성 부채"는 쉽게 사고팔 수 있는 채권을 말하며, "민간 보유"는 이러한 채권이 민간 투자자들에 의해 보유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3월 말과 6월 말에 현금 잔고를 8,500억 달러로 유지하면서도 1,230억 달러의 시장성 부채를 차입한다는 것은, 재무부가 그 기간 동안 필요한 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국채를 발행하지만, 동시에 다른 재정 활동을 통해 현금 잔고를 일정 수준으로 유지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구체적으로는 다음과 같은 상황을 포함할 수 있습니다.
- 기존 부채 상환: 만기가 도래한 기존 부채를 상환하면서 새로운 부채를 발행하여 자금을 조달합니다.
- 재정 수입: 세금 수입이나 기타 재정 수입을 통해 현금 잔고를 유지합니다.
- 지출 조정: 정부 지출을 조정하여 현금 잔고를 일정 수준으로 유지합니다.
따라서, 재무부는 필요한 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새로운 부채를 발행하지만, 다양한 재정 활동을 통해 현금 잔고를 일정 수준으로 유지하는 것입니다.
국채발행계획 (QRA)
2월 5일 재무부는 국채발행계획을 아래와 같이 공시하였습니다.
재무부는 2월 15일에 만기되는 개인 소유 재무부 채권 및 지배권의 약 1,062억 달러를 대체하기 위해 1,250억 달러의 재무부 증권을 발행할 예정입니다. 이 발행은 개인 투자자로부터 약 188억 달러의 새로운 현금을 조달할 것입니다.
발행될 국채는 다음과 같습니다.
- 3년물: 580억 달러, 만기일: 2028년 2월 15일
- 10년물: 420억 달러, 만기일: 2035년 2월 15일
- 30년물: 250억 달러, 만기일: 2055년 2월 15일
국채발행 규모는 이전 분기와 동일하게 유지될 전망으로 정부의 국채발행 규모가 크게 변하지 않는다는 의미입니다. 즉, 이번 발표에서 발행 규모가 유지된다는 것은 시장 유동성에 대한 즉각적인 영향이 크지 않을 가능성이 높음을 시사합니다.
주요 시장 영향 예측
(1) 채권시장
- 발행량이 증가하지 않았으므로, 추가적인 수급 부담이 발생하지 않음
- 기존 국채 수요·공급 흐름이 유지될 가능성이 큼
- 금리 상승 압력이 추가로 발생하지 않을 가능성
(2) 주식시장
- 국채 발행 증가가 없으므로, 채권 금리가 급등할 위험이 낮음
- 금리 부담이 크지 않다면, 주식시장에는 긍정적인 요인
(3) 외환시장
- 국채 발행량 유지 → 국채 수익률이 급변할 가능성이 낮음 → 달러 가치 변동성 완화 가능성
(4) 연준(미국 중앙은행, Fed) 정책과의 관계
- 국채 발행 유지 → 시장 유동성에 추가적인 긴축 효과 없음
- 연준이 올해 금리를 인하할 가능성이 있다면, 완만한 유동성 증가가 예상될 수도 있음
(5) 시장 유동성 변화 가능성
- 단기적으로는 국채 발행 유지로 인한 유동성 변화가 크지 않을 것
- 연준의 금리 정책, 국채 수요(해외 투자자·기관), 경기 흐름에 따라 실제 유동성은 변동 가능
- 향후 국채 발행 계획이 변경되거나, 정부 지출 증가·감소에 따라 유동성 전망이 달라질 수 있음
즉, 이번 발표로 시장 유동성이 급변할 가능성은 낮습니다. 그러나 금리 정책 및 경제 지표에 따라 변동성이 생길 수 있으므로 추가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합니다.
25년 1분기 재무부의 국채발행계획을 보면 당초 이전 분기와 동일하게 유지될 전망으로 시장의 유동성, 채권 금리 등이 급변할 가능성은 낮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앞으로 주식시장의 변동성이 다소 줄어들었으면 하는 바램을 가져봅니다.
'투자에서 꼭 알아야하는 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역레포 (Reverse Repurchase Agreement) 자금, 유동성 조절? (18) | 2025.02.10 |
---|---|
돈의 본성 (2) - 만들어진 돈은 어디로 움직이는가? (8) | 2025.02.08 |
미국 재무부 국채발행 계획 (QRA) - 유동성 조절 (11) | 2025.02.04 |
딥시크 쇼크 - 엔비디아 주식 팔아요? 사요? 우문현답 (13) | 2025.02.03 |
Rule of 40 - 빠르게 성장하는 기술 기업 평가 방법, 팔란티어는? (12) | 2025.02.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