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투자에서 꼭 알아야하는 지식

역레포 (Reverse Repurchase Agreement) 자금, 유동성 조절?

by Invest Marathoner 2025. 2. 10.

미국 재무부는 국채를 발행하면서 시장의 유동성을 조절하고 있습니다. 또한 국채발행으로 조달한 자금은 TGA 계좌에 예치합니다.

 

그런데, 미국 재무부의 국채 발행 말고 미 연준이 시장의 유동성과 연관되어 있는 또 하나 알아야 할 것이 있습니다.

 

바로 역레포 (Reverse Repurchase) 입니다. 역레포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먼저 레포 (Repo, Repurchase Agreement)를 알아야 합니다.

 

레포 (Repo, Repurchase Agreement) 와 역레포 (Reverse Repo, Reverse Repurchase Agreement)

 

레포는 금융기관이 단기 자금 조달을 위해 보유하고 있는 채권을 담보로 빌리는 계약으로 "환매조권부채권" 이라고 합니다. 보통 7일 이내 단기로 기간이 정해져 있고, 계약 기간이 끝나면 금융기관은 채권을 다시 매입(환매)하게 됩니다. 보통 금융기관이 연방준비제도(Fed) 또는 다른 금융기관에게 채권을 맡기고 현금을 받습니다. 이후 정해진 기간이 지나면 채권을 다시 매입하고 현금을 돌려줍니다. 이때 거래 되는 금리를 레포금리 라고 부릅니다. 

 

역레포, 레포

 

레포는 금융기관이 일시적인 자금 부족을 해결할 수 있도록 도와주며, 시장의 유동성을 일시적으로 늘려줍니다.

 

 

역레포는 레포와 반대로 연방준비제도(Fed)가 금융기관에게 채권을 담보로 돈을 빌리는 계약으로, "역환매조건부채권" 이라고 합니다. 계약 기간이 끝나면 Fed는 채권을 다시 매입(환매)하고 돈을 돌려줍니다. Fed가 금융기관에 채권을 매도하고, 현금을 받아옵니다. 이후 정해진 기간이 지나면 채권을 다시 매입하고 현금을 돌려줍니다.

 

역레포 (Reverse Repo)는 Fed가 시장의 유동성을 흡수하기 위해 사용합니다. 유동성이 과도할 때 Reverse Repo를 통해 시장에서 자금을 흡수하여 금리를 안정화시킵니다.

 

 

그런데 말입니다.

 

 

여기서 아주 단순한 궁금증이 하나 생깁니다. 연방준비제도, 연준은 돈을 만들어 낼 수 있습니다. 돈을 만들 수 있는 연준은 왜 금융기관에게 채권을 담보로 이자를 지급하면서 돈을 빌려올까요?

 

 

이는 금융기관이 돈이 넘쳐흘러서 넘쳐흐르는 돈을 둘 곳이 마땅치 않아서 전전긍긍하고 있을때, 연준에 돈을 빌려준다는 명목 하에 이자를 받고, 그 이자가 충분히 수익을 얻을 수 있으니, 돈을 빌려주는 것이라 생각할 수 있습니다. 

 

 

역레포 자금 현황

 

역레포 자금은 2천억 달러 수준에서 2021년 2분기 부터 증가하기 시작하여, 22년 하반기에는 2조 6천억 달러 수준으로 증가합니다. 이 증가의 원인은 연준이 시중에 유동성을 흡수한다고 해석하기 보다는 금융기관에 돈이 넘쳐흐르는데, 마땅히 대출할 곳이 없어 연준에 돈을 맡긴 것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20년 코로나 이후 엄청나게 많은 유동성이 시중에 풀렸던 것을 기억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넘쳐나는 유동성을 금융기관이 그냥 가지고 있지 않고 연준에 돈을 맡긴 것 입니다.

 

역레포 자금 현황

 

 

역레포 자금은 2023년 하반기 부터 감소하기 시작하여 2025년 1월 5천억 달러 수준으로 감소하고 있습니다. 이는 시중에 유동성이 그만큼 증가한다는 것을 의미하는데요. 그렇다면 이렇게 감소하는 이유는 어떻게 생각해 볼 수 있을까요? 연준이 시중에 통화량을 조절하는 것일까요?

 

이것은 앞서 설명드린 이유와 반대로 금융기관이 연준에게 돈을 맡기는 것 보다 어딘가 다른 곳에 더 좋은 수익처를 찾아서 연준에게 맡긴 돈을 다시 회수하고 있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역레포 금리 보다 더 좋은 수익처는 어디서 찾을 수 있을까요? 가장 먼저 떠오르는 것은 단기국채 입니다. 미국 재무부가 발행한 국채 금리가 역레포 금리보다 수익이 좋다면 자금은 그쪽으로 이동하게 됩니다. 

 

역레포 자금과 TGA 계좌

 

 

역레포 자금이 감소하는 시기와 TGA 잔고가 증가하는 시점이 동일함을 알 수 있습니다. 즉 미국 재무부에서 발행하는 단기국채를 역레포 자금이 소화했다고 해석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2025년 현재 역레포 자금은 4천억 달러 수준까지 내려와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미국 재무부가 단기채 발행이 아닌 장기국채를 더 많이 발행할 수 있지 않느냐 는 우려가 있었는데 다행히 지난 2월 5일 QRA에 의하면 장기국채발행은 큰 변화를 보이지 않을 것으로 발표하였구요.

 

 

 

미국 재무부 국채발행계획 (QRA) 공시 - 시장의 유동성은?

미국 재무부는 25년 1분기 국채발행 추정치 와 국채발행규모 (QRA) 를 공시 하였습니다. 이를 통해 시장의 유동성 및 주식 시장에 영향을 분석해 볼까요? 차입 추정치 2월 3일 재무부는 25년 1분기

investmarathoner.tistory.com

 


 

트럼프 정부 출범 이후에는 지금까지의 변화 양상과는 다른 방향으로 시장의 유동성이 변화할 것으로 생각합니다. 앞으로도 잘 모니터링 하며 거시 경제를 이해해 나가야 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