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투자에서 꼭 알아야하는 지식

돈의 본성 (2) - 만들어진 돈은 어디로 움직이는가?

by Invest Marathoner 2025. 2. 8.

자본주의 사회에서 돈은 끊임 없이 만들어집니다. 이것이 자본주의 안에서 돈의 본성 입니다. 이를 잘 이해하고 있는 것, 이것이 경제적 자유를 찾아가는 첫 걸음 입니다.

 

 

 

돈의 본성, 돈은 끊임없이 만들어지고 있다??

경제적 자유란 돈을 위해 다른 사람이 정한 시간표에 따라 일하지 않고, 운이나 다른 사람의 관대함에 의존하지 않고, 원하는 삶을 살 수 있는 자유 입니다.  즉, 돈을 많이 소유하는 것입니다.

investmarathoner.tistory.com

 

그렇다면 이렇게 끊임없이 만들어지는 돈은 어디로 움직이는 것일까요?

 

만들어진 돈은 나에게까지 전해지는 것일까요?

 

전해 진다면 언제 오는 것일까요?

 

혹시 나에게는 오지 않고 다른 곳으로만 이동하는 것은 아닐까요?

 

 

이번 이야기는 끊임없이 만들어지고 있는 돈의 움직임에 관한 것 입니다.

 

돈은 어디로 움직이는가?

 

 

돈이 만들어지는 방법은 (1) 중앙은행이 돈을 만드는 것 과 (2) 일반은행이 돈을 복사하는 것 이렇게 크게 두 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먼저 중앙은행이 돈을 만들면 이 돈은 일반은행이 기존에 보유하고 있는 채권을 중앙은행이 구입하는 방법으로 일반은행에 전해집니다. 두번째 방법 역시 일반은행이 돈을 복사해서 돈을 만들어 내기 것이니까, 일반은행이 그 돈을 소유하고 있습니다.

 

돈의 첫번째 목적지는 일반은행과 같은 금융기관 입니다.

 

 

이렇게 새롭게 만들어진 돈은 금융기관에서 '대출' 이라는 행위로 다른 곳으로 이동됩니다. 돈의 두번째 목적지는 대체로 새로운 사업에 투자를 하려는 기업, 혹은 대출이 크게 부담되지 않는 부유층 혹은 또 다른 금융기관 입니다. 기업, 부유층 들은 이렇게 확보한 자금을 활용하여 새로운 투자를 하게 되어, 이를 통해 이익을 극대화 할 수 있습니다.

 

 

돈의 두번째 목적지기업, 부유층 입니다. 

 

 

기업의 이익이 극대화 되면 그 기업에 일하고 있는 노동자 역시 어느 정도 임금이 상승하게 되어 새롭게 만들어진 돈은 돈의 세번째 목적지, 일반 대중 에게 이동됩니다.

 

 

돈의 세번째 목적지 일반 대중 입니다.

 

 

그런데, 이익의 극대화를 달성한 기업, 혹은 부유층 들로 인하여 기존 자산의 가치는 더욱 상승하게 되고, 또한 이익을 얻은 사람들은 자연스럽게 소비가 늘어나게 되고 그로 인하여 물가상승이 나타나게 됩니다. 일반 대중들은 물가상승으로 식료품, 에너지 등 필수 소비재의 가격이 올라있어 고스라니 고통을 감내해야 합니다.

 

 

즉, 중앙은행이 돈을 만들어내면 그에 따른 부작용, 인플레이션, 에 대한 대가, 즉 그 비용은 일반대중이 지불하게 되는 것입니다.

 

뿐만 아니라, 새롭게 만들어진 돈이 일반 대중, 그러니까 나에게 도달하는 것은 어느 정도 시차가 있고 난 후 입니다. 이때는 돈이 만들어지는 초기에 돈을 얻은 부유층이 자산에 투자를 한 덕분에(?) 자산의 가치는 어느 정도 상승 한 후 입니다. 일반 대중의 일부는 그때 서야 대출을 통해서 가치가 상승한 자산에 투자를 하게 됩니다. 문제는 이렇게 일반대중들이 자산에 투자하는 시기는 인플레이션과 맞물리기되고, 인플레이션으로 인해 경기침체가 오게 되면 나중에 부랴부랴 자산에 투자한 일반 대중들에게 그 피해는 고스라니 전해지게 됩니다.

 


 

이러한 현상은 이미 18세기 경제학자에 의해 주장되었습니다. 18세기 경제학자 리처드 캉티용은 자신의 저서 '일반 상업 본질 소론'에서 화폐 공급의 증가가 모든 사람에게 동일하게 영향을 미치지 않고, 먼저 새로운 화폐를 받는 사람에게 유리하게 작용한다는 것, "캉티용 효과 (Cantillon Effect)" 에 대해 설명했습니다.

 

리처드 캉티용

 

캉티용은 화폐 공급의 증가가 물가 상승을 야기하지만, 그 과정에서 부의 불평등이 심화될 수 있다는 것을 지적하였습니다. 이는 현대 경제학에서도 여전히 중요하게 다뤄지는 개념입니다.

 

캉티용 효과
캉티용 효과 (출처: River.com)

 

 

캉티용이 캉티용 효과를 주장한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화폐 공급의 불균형: 새로운 화폐가 모든 사람에게 동시에 균등하게 공급되지 않고, 특정 계층이나 집단에 먼저 공급되기 때문입니다.
  • 정보 비대칭: 새로운 화폐 공급에 대한 정보를 먼저 입수하고 이를 활용할 수 있는 사람들이 유리하기 때문입니다.
  • 자산 가격 상승: 화폐 공급 증가로 인해 자산 가격이 상승하면, 이미 자산을 보유하고 있는 사람들은 자산 가치 상승으로 이익을 얻지만, 자산을 보유하지 못한 사람들은 상대적으로 불리해집니다.

 

그렇다면, 어떻게 해야 끊임없이 만들어지는 돈으로 인해 발생하는 부의 불균형에서 벗어나고, 만들어 지는 돈으로 이익을 극대화 할 수 있을까요?

 

이 질문에 대해서는 다시 한번 주식투자의 본질에 대해 이야기하고 싶습니다.

 

 

주식투자의 본질 - 경제적 자유를 찾기 위해 반드시 알아야 하는 지식

투자의 목적은 수익을 얻기 위함입니다.  주식을 사는 것은 회사를 소유하는 것입니다. 회사의 목적은 수익을 창출하는 것입니다.   그렇다면 주식투자의 본질은 무엇인가요?  주식투자의

investmarathoner.tistory.com

 

주식투자는 이익을 내는 기업에 투자하여 그 이익을 소유하는 것입니다. 끊임없이 만들어지는 돈으로 이익을 내는 기업은 어디일까요? 가장 먼저 금융기관을 떠올릴 수 있구요. 현재 이익을 내고 있으며, 또한 앞으로 그 이익이 더욱 극대화 되는 기업을 생각할 수 있습니다.

 

현재 우리는 AI 혁명의 시기를 살아가고 있습니다. AI 로 인해 세상은 변하고 있으며, 이러한 변화의 물결에서 이익을 극대화할 수 있는 기업이 현재 주식 투자에 가장 적합한 곳 입니다. 경제적 자유를 찾아 떠나는 투자자라면 AI 혁명으로 인한 시대의 변화를 잘 파악하고 있어야 하며, 그 변화에서 이익을 낼 수 있는 펀더멘털을 가지고 있는 기업이 어디 인지 끊임없이 공부해야 합니다. 그러한 기업을 찾아 그 기업에 투자하는 것이, 앞서의 질문, "끊임없이 만들어지는 돈으로 인해 발생하는 부의 불균형에서 벗어나고, 그리고 만들어 지는 돈으로 이익을 극대화 할 수 있는" 최고의 방법이라 생각합니다.